중국 당나라 중기, 전쟁과 혼란 속에서 백성들의 아픔을 시로 풀어낸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시성(詩聖) 두보(杜甫)입니다.
당대의 시인 이백과 쌍벽을 이루었던 두보의 생애와 대표 시, 그리고 그의 시 세계의 특성을 알아볼게요.
두보(杜甫)는 누구인가?
두보(杜甫, 712~770)는 중국 당나라 중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시성(詩聖, 시의 성인)’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두보는 사회적 현실과 백성들의 고통을 심도 있게 담아낸 사실주의 시풍을 가진 시인으로, 당대부터 후대에 이르기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두보의 시는, 한 인간으로서의 고뇌, 유랑의 슬픔, 가족애, 정치적 부조리 등 시대적 상황을 폭넓게 시속에 녹아내고 있고, 두보 시의 내용은 단순히 문학을 넘어서서 당시의 시대사가 기록된 아주 귀중한 기록지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두보(杜甫)의 대표 시 모음(원문,번역,해설 순으로 구성)
1. 春望 (춘망, 봄을 보다)
📖 원문
國破山河在 城春草木深
感時花濺淚 恨別鳥驚心
烽火連三月 家書抵萬金
白頭搔更短 渾欲不勝簪
📜 번역
나라 망하고 산하만 남았는데
도시에는 봄날 풀과 나무만 무성하구나.
세월을 생각하니 꽃도 눈물 뿌리고,
이별을 한스럽게 여겨 새소리에 놀란다.
전쟁은 석 달째 계속되고,
집에서 온 편지는 금보다 귀하다.
백발을 쓰다듬다 보니 머리카락이 줄어
비녀도 꽂을 수 없구나.
✍️ 해설
안사의 난(안녹산의 난)으로 장안이 함락된 후, 두보가 혼란한 현실과 가족 이산의 슬픔을 읊은 대표 시.
2. 兵車行 (병거행, 병사의 수레)
📖 발췌 원문
車轔轔 馬蕭蕭 行人弓箭各在腰
爺娘妻子走相送 塵埃不見咸陽橋
📜 번역
수레는 덜컥덜컥, 말은 울며 달리니
사람들은 활을 메고 전장으로 향한다.
부모, 아내, 자식이 함께 배웅하지만
먼지 속에 함양교는 보이지도 않는다.
✍️ 해설
징병과 전쟁에 끌려가는 병사들과, 이별을 슬퍼하는 가족들의 현실을 그린 대표적인 사실주의 풍의 장시.
3. 登高 (등고, 높은 곳에 오르다)
📖 원문
風急天高猿嘯哀 渚清沙白鳥飛回
無邊落木蕭蕭下 不盡長江滾滾來
萬里悲秋常作客 百年多病獨登臺
艱難苦恨繁霜鬢 潦倒新停濁酒杯
📜 번역
바람 급히 불고 하늘 높아 원숭이 슬피 울고,
물가 맑고 모래 하얗고 새는 빙빙 돈다.
끝없는 나뭇잎은 쓸쓸히 떨어지고,
무궁한 장강은 소용돌이치며 흐르네.
만 리 타향살이에 가을마다 슬프고,
병든 몸 홀로 누대에 오른다.
어려운 세월 속에 흰머리만 번성하고,
초라한 내 모습에 술잔조차 내려놓는다.
✍️ 해설
인생의 허무와 병든 몸, 타향살이의 외로움을 자연 경관에 빗대어 노래한 자성적 걸작.
4. 月夜 (월야, 달밤)
📖 원문
今夜鄜州月 闺中只獨看
遥憐小兒女 未解憶長安
香霧雲鬟濕 清輝玉臂寒
何時倚虛幌 雙照淚痕乾
📜 번역
오늘 밤 푸주 땅의 달빛, 아내는 홀로 창을 보겠지.
멀리 있는 아이들은 장안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향기로운 안개는 아내의 머리를 적시고
달빛은 그녀의 팔을 차갑게 하겠지.
언제쯤 다시 모기장을 나란히 기댈 수 있을까?
눈물 자국 말라가는 그 달빛 아래에서.
✍️ 해설
전쟁과 이별로 떨어진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절절히 담긴 시.
특히 아내와 자식을 생각하는 부성애·부부애가 잘 드러난 작품.
5. 哭李白 (곡이백, 이백을 애도하며)
📖 원문
聞道殘春尚有期 憶君哀詠獨難持
醉眠秋共被 羈旅月同悲
故人長絕世 再見幾時時
📜 번역
들으니 남은 봄이 아직 있으나
그대의 슬픈 시를 기억하며 나는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네.
가을밤 함께 취해 자던 기억도,
타향의 달빛 속에 함께 울던 기억도 남아있다.
오랜 친구, 이제는 이 세상과 영영 작별하였으니
그대를 다시 만날 수 있을까?
✍️ 해설
절친이었던 이백(李白)의 죽음을 애도하며 쓴 애송 시.
두보의 인간적 감성과 진심어린 애정이 묻어나는 귀중한 자료.
6. 江南逢李龜年 (강남에서 이귀년을 만나다)
📖 원문
岐王宅裏尋常見 崔九堂前幾度聞
正是江南好風景 落花時節又逢君
📜 번역
기왕의 집에서 자주 뵈었고
최구의 집 앞에서도 몇 번 들었지요.
지금은 강남의 좋은 봄 풍경 속,
꽃잎 떨어지는 이때 그대를 또 만났네요.
✍️ 해설
한때 궁정악인이었던 이귀년을 전란 이후 강남에서 만나 회포를 푸는 시.
화려했던 시절의 추억과 현실의 쇠락이 교차되는 감성적 작품.
7. 自京赴奉先縣咏懷五百字 (경성에서 봉선현으로 가며 회포를 읊다, 발췌)
📖 원문 발췌
痛苦無端落筆難 舊書題處泪斑斑
浮生只合尊前老 此日長安道已闌
📜 번역
고통은 끝없어 붓을 들기조차 어렵고,
옛 책에 적힌 글귀마다 눈물이 얼룩져 있구나.
부질없는 인생, 술 앞에서 늙는 것뿐이라면,
지금 이 장안길도 이미 막혀버렸구나.
✍️ 해설
장안에서 봉선으로 향하는 여정 속, 삶의 고단함과 세상사의 허망함을 읊은 장시.
시의 주제 요약
시 제목 | 핵심 주제 | 특 징 |
춘망 | 전쟁 후의 슬픔 | 역사·가정·이산 |
병거행 | 병사의 고통 | 전쟁 비판 |
등고 | 인생 무상 | 철학적 자성시 |
월야 | 가족 그리움 | 부부애 |
곡이백 | 이백 애도 | 우정 |
강남逢李龜年 | 추억과 현실의 교차 | 정서적 회고 |
京赴奉先 | 현실 풍자와 허무 | 장시·비판시 |
두보 시 세계의 핵심 특징
구 분 | 내 용 |
주제 | 전쟁, 백성의 고통, 현실 비판, 가족애, 인생무상 |
표현 | 사실적 묘사, 비유 없이 직설적 표현 |
사상 | 유교적 인의와 충성심, 민중에 대한 연민 |
문학사적 위치 | 사실주의 시풍의 완성자, '시성(詩聖)' |
두보의 이백의 시풍 차이점은?
항 목 | 두 보 | 이 백 |
별칭 | 시성(詩聖) | 시선(詩仙) |
특징 | 현실 묘사, 사회참여 | 감성적, 도가적 상상력 |
주제 | 백성의 고통, 정치비판 | 자유, 낭만, 음주, 초월 |
문체 | 엄격한 규율과 형식 | 자유롭고 호방한 문장 |
자주 묻는 질문(FAQ)
Q1. 두보의 시는 왜 현실적이고 슬픈가요?
👉 두보는 전란과 유랑, 빈곤을 겪으며 백성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처럼 여겼고, 이를 시에 담았기 때문입니다.
Q2. 두보의 시는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시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오늘날까지도 사실주의 시의 대표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3. 두보는 평생 관직에 있지 않았나요?
👉 젊은 시절 과거 시험에 낙방했고, 말년에 소규모 관직에 올랐지만 안정된 삶은 거의 누리지 못했습니다.
Q4. 두보의 시를 어디서 읽을 수 있나요?
👉 ‘두보시집(杜甫詩集)’으로 엮여 있으며, 국내에도 다양한 번역본이 있습니다.
Q5. 이백과 두보 중 누가 더 위대한 시인인가요?
👉 이백은 시선(시의 신선), 두보는 시성(시의 성인)으로 각자의 개성과 장점이 뚜렷합니다. 문학사에서는 두 사람을 쌍벽으로 평가합니다.
마무리하며...
두보의 시는 단순히 시가 아닌, 당대의 역사적 상황과 백성들의 슬픔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시로써, 역사가 기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두보는 감정을 억누른 채 날 선 현실을 그대로 시에 담아내어, 후대에까지 깊은 울림을 주는 아주 위대한 시인을 길이 남았습니다.
'역사,역사적 인물,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논어]공자가 말한 삼락(三樂)의 유래와 교훈 (6) | 2025.07.07 |
---|---|
화양연화(花樣年華) 뜻과 유래 – 가장 아름다웠던 그 시절을 말하다 (18) | 2025.06.23 |
[맹자명언]“배움은 스스로를 돌아보는 데 있다”(학문지도무타, 구기방심이이의) – 맹자의 지혜 (7) | 2025.06.20 |
[광해군]조선의 비운의 군주, 광해군과 그의 아내 유씨의 이야기 (16) | 2025.06.15 |
[측천무후]중국의 유일한 여성 황제, 측천무후의 일생과 업적들 (6)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