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저녁엔 춥고, 낮엔 또 덥고… 요즘은 날씨가 변화무쌍하다 보니, 매일 옷 선택이 고민이 되실 텐데요, 환절기, 10~15℃ 초겨울 날씨, 이때 체온 관리가 제대로 안 되면 감기, 인후염,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요. 오늘은 이렇게 입을 옷이 마땅치 않은 애매한 날씨에 좋은 몸의 보온 유지방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목 차
- 레이어드가 정답! 얇게 여러 겹 입기
- 목·손목·발목 보온이 체감온도 좌우
- 따뜻함은 두께보다 소재 선택
- 체온 유지의 핵심, 하체 보온
- 외출 전·후 체온 관리 습관
- 마무리

1. 레이어드가 정답! 얇게 여러 겹 입기
환절기 보온의 기본은 얇은 옷 2~3겹 레이어드입니다. 두꺼운 옷 한 벌보다 공기층이 생겨 체온 유지 효과가 뛰어납니다.
추천 코디 조합
- 이너: 히트텍, 얇은 반팔, 긴팔 티셔츠
- 중간층: 가디건, 후드집업, 니트
- 아우터: 바람막이, 트렌치코트, 경량 패딩, 울 재킷
중간층을 쉽게 벗고 입을 수 있는 형태로 선택하면 실내·외 온도 차 대응이 쉬워요. 더우면 벗고 추우면 빨리 입을 수 있는 옷이 좋죠.
2. 목·손목·발목 보온이 체감온도 좌우
옷을 많이 입었는데도 추위를 느끼신 적이 있으신가요? 휑한 목 안으로 바람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죠. 차가운 공기는 신체 말단과 노출 부위를 통해 열을 뺏어갑니다. 특히 목·손목·발목 중 한 곳만 보온해도 체감온도가 3~5℃ 상승해요.
실천 TIP
- 얇은 머플러·넥워머 착용
- 발열 양말 또는 양말 2겹 레이어드
- 손목 워머, 얇은 장갑 활용
“추우면 일단 목부터 감싸라”는 말, 과학적으로도 맞습니다!
3. 따뜻함은 두께보다 소재 선택

보온력은 옷의 두께보다 어떤 원단이냐가 더 중요합니다. 따뜻한 소재의 옷을 여러 겹으로 입으면 훨씬 따뜻하죠. 따뜻한 성질을 가진 소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추천소재 | 특 징 | 장 점 |
| 울(Wool) | 공기층 형성 | 가볍고 보온성 우수 |
| 기모 소재 | 안감 기모 | 따뜻하고 편안 |
| 플리스 | 포근하고 가벼움 | 활동성 GOOD |
| 다운(구스/덕다운) | 최고 단열 | 본격 추운 날 필수 |
| 발열 기능성 소재 | 열 반사·유지 | 실내외 온도차에 적합 |
면 100% 단독 착용은 비추천!
땀 배출 후 식으면 오히려 더 춥게 느껴질 수 있어요.
4. 체온 유지의 핵심, 하체 보온
상체가 따뜻해도 다리가 차가우면 몸 전체가 춥게 느껴집니다. 하체 온도가 떨어지면 혈액순환까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하체도 따듯하게 입어야 합니다.
추천 보온법
- 기모 레깅스 or 스타킹 착용
- 발열 내복(히트텍 바지) 활용
- 발목 덮는 신발 선택 (앵클부츠, 하이탑 등)
다리가 따뜻하면 체온 유지가 확실히 쉬워집니다.
5. 외출 전·후 체온 관리 습관
생활 속 습관만 바꿔도 감기 예방 효과가 크답니다.
외출 전
✔ 가벼운 스트레칭 1~2분 → 혈액순환 UP
✘ 샤워 직후 바로 외출 금지 (바깥에서 더 춥게 느낌)
외출 후
- 따뜻한 물 한 잔
- 손·발 따뜻한 물에 5분 담그기
- 젖은 양말 바로 갈아 신기
6. 마무리
옷 입기 애매한 쌀쌀한 날씨에는 레이어드 방식으로 옷 입기, 손목 등 바람이 많이 들어오는 부분에 보온유지하기, 따뜻한 소재의 옷을 입고 하체도 더욱 따뜻하게 해야 체온 유지가 잘 되어 면역력도 높아지고 감기도 물리칠 수 있어요.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자칫하면 감기 걸리기 쉬운데, 따뜻한 물이나 차도 많이 드시고 몸의 보온유지를 할 수 있는 머플러나 넥워머 등을 소지해 다니시면서 많이 추울 때는 꼭 착용하셔서 추운 날씨를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건강 > 질병 예방법, 건강관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어깨회전근개파열: 원인, 증상, 치료법, 재활방법 총정리 (1) | 2025.11.05 |
|---|---|
|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증상, 원인, 50대 이후 더 위험한 이유와 예방 방법 (8) | 2025.11.04 |
| [치매증상]치매 망상 증후군 증상·원인·대처법 총정리(ft. 비치매 망상장애와 다른점) (1) | 2025.11.02 |
| 비 오는 날 관절이 더 쑤시는 이유는? 관절통 완화하는 방법 6가지& 해결법 (6) | 2025.11.01 |
| 먹는 스킨케어, 아보카도 오일은 어떤 효능이 있을까? 성분과 활용법 알아보기 (6)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