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환자를 직접 돌보시고 계시는 가족분들은 매일 정말 큰 어려움을 겪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여러 가지 치매증상중에 치매 환자에게 나타나는 망상 증후군(Delusional Syndrome)은 보호자에게 큰 어려움을 주는 대표적 행동증상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치매망상증후군의 증상과 원인,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비치매 망상장애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두 증상은 ‘현실과 다른 사실을 믿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발생 원인과 진행 방식, 치료 접근법은 확연히 다릅니다.
오늘은 치매 망상 증후군 증상과 원인 대처법, 비치매 망상장애과의 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 망상 증후군(Delusional Syndrome)이란?
망상 증후군이란 현실과 다른 사실을 강하게 믿는 상태로, 논리적 설명이나 반박에도 믿음을 바꾸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망상은 정신질환, 치매, 뇌 손상, 약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매 망상 증후군의 원인
치매로 인한 망상 행동은 단순 성격 문제가 아닌 치매로 인한 뇌 기능 저하에서 비롯된 인지 장애 증상입니다.
1. 기억력 및 판단력 저하
- 물건 둔 위치를 기억 못해 도난으로 오해
-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지가 흐려짐
2. 뇌 신경 세포 손상 및 중추신경계 변화
치매가 진행되면 뇌의 판단·감정 조절 기능이 약해져 허위 사실을 사실처럼 믿게 됩니다.
3. 불안, 우울감, 스트레스 증가
낯선 환경, 익숙한 사람이 사라진 듯한 불안이 망상으로 이어집니다.
4. 청각·시각 장애 동반
노화로 감각 기능이 떨어지면 현실 인지가 왜곡되어 망상이 쉽게 발생합니다.
@ 치매 환자에게 나타나는 망상 증상 유형
치매 환자가 자주 보이는 대표적인 망상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둑망상(물건을 훔쳐갔다고 믿는 증상)

가장 흔한 형태로,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기억하지 못해 가족이나 간병인이 훔쳤다고 의심합니다.
- “내 지갑 가져갔지?”
- “내 옷 숨겨놨지?”
→ 많은 가족이 상처받는 순간이 이때 발생합니다. 물건을 둔 위치를 기억을 못 해서 도난으로 생각하고 가족 중에 "누가 내 물건을 훔쳐갔다."고 생각하면서 가족을 의심하실 수도 있는데, 기억력, 판단력이 저하되어서 그런 것이니 너무 상처받지 마세요. 이런 상황을 대비해서 CCTV를 설치해 놓고 녹화를 하시면 문제해결이 좀 더 쉬워지실 거에요.
2. 부정망상(부부나 가족이 자신을 배신했다고 믿는 증상)
배우자가 다른 사람과 바람을 피운다고 의심하거나, 가족이 자신을 버릴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 “너 나 버리고 요양원 보내려 하지?”
- “남편이 바람 피운다.”
3. 피해망상(누군가 자신을 해하려 한다고 믿는 증상)
가족이 자신을 독살하려 하거나, 누군가 자신을 감시한다고 생각합니다.
- “음식에 약을 탔지?”
- “집에 도둑이 들어온다.”
4. 낯선 사람 망상(가족을 다른 사람으로 착각)
오래 함께 살아온 가족을 알아보지 못하고 “이 사람 누구냐”고 말하거나, 배우자를 형제·친척으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 위의 망상 유형들은 정말 가족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는 부분인데요. 이럴 때는 잘 대처하셔서 치매환자를 안정을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앞으로 증상이 더 진행될 텐데 마음을 단단히 하셔야 해요. 어쩌면 기억이 흐릿하니, 불안한 마음에 더 그런 양상을 보인다는 생각이 들어요. 많이 속상하겠지만, 마음에 두지 마시고 넘기셔야 버티실 수 있어요.
@ 치매 환자의 망상 증후군 대처법

치매로 인한 망상을 부정하거나 논리적으로 반박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됩니다.
다음과 같은 대응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1. 반박하지 말고 공감·안정감 주기
❌ “누가 훔쳐가? 그런 말 하지 마!”
⭕ “그랬구나, 불안했겠다. 내가 같이 찾아볼게요.”
환자는 진짜로 그런 일을 겪었다고 믿기 때문에, 우선 감정에 공감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주의 전환법 활용
관심을 다른 활동으로 돌려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입니다.
산책, 좋아했던 음악 듣기, 간식 먹기 등으로 기분 환기가 효과적입니다.
3. 물건 분류 및 정리 습관화
도둑망상 예방을 위해 자주 찾는 물건은 눈에 보이는 한 곳에 정리해 둡니다.
라벨링, 투명 보관함 활용도 좋습니다.
4. 낯선 환경 최소화
환경 변화가 크면 불안이 심해집니다.
가구 재배치, 갑작스러운 주거 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전문가 상담 및 약물 치료 병행
망상이 심할 경우 전문의 상담 후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등이 처방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은 반드시 전문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 하나하나 다 따지듯이 말하다 보면 오히려 치매환자에게 혼란만 주게 되어 좋지 않아요. 답답하더라도 다그치지 말고, 일단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켜 주고, 요구하는 것이 있으면 같이 해주고, 조금 틀리더라도 괜찮다고 다독여가면서 물 흐르듯이 자연스럽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을 비우고 도를 닦는다는 생각으로 임하셔야 할 것 같아요
@ 치매 환자의 망상 증후군 vs 비치매 망상장애 비교
| 구 분 | 치매망상 증후군 | 비치매 망상장애(정신과적 망상 증후군) |
| 발생 연령 | 주로 65세 이상 노년층 | 20~6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 |
| 주요 원인 | 뇌 인지 기능 퇴행, 기억력 저하, 신경세포 손상 | 정신질환(조현병/우울증/불안장애), 트라우마, 강박, 성격적 요인 |
| 특징 | 기억 오류 + 망상이 함께 동반 | 기억력은 정상인 경우가 많음 |
| 망상 내용 | 도둑망상, 피해망상, 배우자 의심, 버림받는 불안 등 일상 밀접 | 과대망상, 관계망상, 종교·철학적 망상, 음모론적 망상 등 다양 |
| 지속성 | 치매 진행에 따라 반복적·만성적 | 치료로 호전 가능, 악화·완화 반복 |
| 치료 접근 | 약물 + 환경 치료 + 보호자 돌봄 필수 | 심리치료,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중심 |
| 보호자 대응 | 공감·안정감 제공이 핵심 | 비논리적 망상은 치료자 중심介入 필요 |
치매망상증후군과 비치매망상장애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대처법: 치매 vs 비치매 망상 대응법
| 상황 | 치매환자 대처 | 비치매망상장애 대처 |
| 대화 시 대응 | 공감·안심시키기 / 반박금지 | 비난·강한 반박은 금지, 전문가 치료 동의 유도 |
| 환경 관리 | 물건 정리, 안정된 환경 유지 | 생활 패턴 개선, 상담 치료 병행 |
| 치료 | 신경과·정신과 약물 + 인지자극치료 | 심리상담, 약물(도파민 차단제), CBT |
---> 어떤 상황의 망상이든지 전문의의 치료를 꼭 받아야 합니다. 방치해 두면 너무 진전이 되어서 나중에는 손을 쓸 수도 없어요. 약물치료와 필요한 치료들을 병행하면서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치매환자의 망상증상은 흔히 나타나는 것이라고 해요. 치매환자를 돌보시고 계시는 가족분들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계실 텐데요. 어떨 때는 모든 것을 다 내려놓고 싶으실 때도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치매환자를 돌보시는 가족분들도 심리적 육체적 소진을 막기 위해 휴식과 상담도 필요하실 거예요. 무조건 내가 모시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상담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상담센터, 돌봄 지원 서비스도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환자 돌보다가 보호자분들이 번아웃이 오면 더 힘든 상황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환자는 물론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의 건강도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건강 > 질병 예방법, 건강관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증상, 원인, 50대 이후 더 위험한 이유와 예방 방법 (8) | 2025.11.04 |
|---|---|
| 환절기, 옷 입기 애매한 날씨에 몸의 보온 유지방법 5가지 (환절기 보온 TIP) (1) | 2025.11.04 |
| 비 오는 날 관절이 더 쑤시는 이유는? 관절통 완화하는 방법 6가지& 해결법 (6) | 2025.11.01 |
| 먹는 스킨케어, 아보카도 오일은 어떤 효능이 있을까? 성분과 활용법 알아보기 (6) | 2025.10.31 |
| [치매증상]석양증후군, 해질 무렵 심해지는 치매 증상, 원인(대처방법 5가지) (1)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