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생활정보, 이슈

보일러 고장 시 표시 숫자별 원인 — 브랜드별 완벽 정리, A/S 접수(회사마다 조금씩 다르니 참고하세요)

by 민트 롤로 2025. 10. 24.
반응형

보일러
보일러

 

 

따뜻한 물은 사계절 다 쓰기 때문에 보일러가 고장이면 온수가 나오지 않아서 큰일이죠. 특히, 겨울철 가장 당황스러운 일이 바로 보일러 고장입니다. 갑자기 보일러가 고장이 나서 당황스럽지만, 그래도 난방이 안 되거나 온수가 안 나올 때, 보일러에 숫자나 코드가 표시되며 어떤 고장이 났는지 알려주죠.
오늘은 경동나비엔, 린나이, 귀뚜라미 보일러의 대표적인 에러코드별 원인과 대처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경동나비엔 보일러 에러코드별 고장 원인

반응형

 

경동나비엔은 대부분 “E”로 시작하는 에러코드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E03, E10, E15 같은 숫자가 점멸한다면 내부 센서나 배기라인 이상을 의미합니다.

에러코드 고장원인 조치방법
E02 난방수 부족 (저수위) 수압계가 1.0~1.5bar인지 확인, 보충밸브 열기
E03 점화 실패 가스밸브 열림 확인, 전원 재부팅 후 재시동
E10 / E110 배기·급기 이상 배기관에 눈, 먼지, 얼음 막힘 여부 점검
E15 온도센서 고장 온수 온도 불안정 시 센서 교체 필요
E28 통신 불량 실내조절기 케이블 연결 확인

Tip :
에러가 표시될 때는 보일러 전원을 껐다 켜보고, 보일러실에 있는 보일러 본체의 코드도 빼보시면서 일시적 오류인지 확인하고,
반복될 경우 반드시 나비엔 고객센터에 문의하세요. 24시간 운영 중에 있습니다. 에러코드를 알려주시면 수리하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 나비엔 고객센터(1588-1144)

 2. 린나이 보일러 에러코드별 고장 원인

반응형

 

린나이 보일러는 숫자형 에러코드(11, 14, 16, 90 등)를 표시합니다.
가스공급이나 센서 이상이 주요 원인으로, 점검 전 반드시 가스밸브를 확인해야 합니다.

에러코드 원인 조치방법
11 점화불량 가스 밸브 개방 확인, 환기 후 전원 재시작
14 온도센서 이상 난방·온수 온도 불안정 시 센서 점검
16 과열 감지 순환펌프 작동 확인, 난방 밸브 열기
90 / 99 배기 불량 연통 막힘, 눈·먼지 제거 필요
72 실내조절기 오류 조절기 전선 접속상태 점검

참고 :
린나이의 ‘11번 점화불량’은 겨울철 가장 흔한 고장입니다. 가스 공급이 일시 중단되었거나, 환기 부족으로 점화가 되지 않을 때 발생하므로 창문을 열고 환기한 후 다시 시도해 보세요. 일단은 보일러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보시고 보일러실에 있는 본체의 플러그도 뽑았다가 잠시 후 다시 꽂아서 보일러의 작동을 체크해 보시고 작동이 안되면 린나이 고객센터에 수리예약을 하십시오.

 

* 린나이보일러 고객센터 : 1544-3651

 

3. 귀뚜라미 보일러 에러코드별 고장 원인

반응형

 

귀뚜라미 보일러는 E001~E010 또는 단순 숫자(01~10) 형태로 표시됩니다.
점화 실패나 센서 이상, 과열 문제 등이 자주 발생합니다.

에러코드 원 인 조치방법
01 / E001 점화 불량 가스밸브 개방, 전원 리셋 후 재시작
03 / E003 불꽃 감지 실패 점화플러그 오염, 교체 필요
04 수온센서 이상 난방수 온도 변화 없을 시 센서 교체
05 과열 감지 배관 막힘, 순환 불량 확인
06 / 07 배기팬 이상 팬 소음·이물질 확인 후 A/S 요청

중요 포인트

  • 반복적인 E001~E003 코드는 점화 시스템 이상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가스 냄새가 나면 즉시 가스밸브를 잠그고 환기해야 합니다.
  • 자가 수리보다는 전문 기사 방문 점검을 권장합니다.

---> 회사마다 에러코드가 다르니 참고하세요.

   

* 귀뚜라미 보일러 고객센터 : 1588-9000

 

보일러 수리중(출처 : pixabay)

 

4. 자주 묻는 질문 (FAQ)

반응형

 

Q1. 에러코드가 계속 반복돼요. 전원 껐다 켜면 괜찮았다가 또 생깁니다.
→ 센서 오작동 또는 보드 접촉 불량일 수 있습니다. 반복되면 서비스 점검이 필요합니다.

Q2. 난방은 되는데 온수가 안 나와요.
삼방밸브(난방/온수 전환밸브) 고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온수 전용 배관 온도 변화를 확인하세요.

Q3. 겨울철 보일러가 자주 꺼지는 이유는?
→ 배기구 결빙, 순환수 부족, 과열 센서 반응이 주요 원인입니다.
보일러 주변의 결빙 방지와 정기 점검이 중요합니다.

 

5. 마무리: 브랜드별 코드 숙지로 빠른 대처!

 

다른 계절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추운 겨울날 보일러가 고장이 나면 이처럼 난처한 일이 없죠. 저희도 작년 겨울 밤에 보일러가 고장 나서 물을 끓여서 간단히 씻고, 난방이 되지 않아서 밤새 떨었던 기억이 납니다. 며칠 걸릴 줄 알았던 수리가 다행히 수리기사님께서 다음 날 와 주셔서 간단히 수리 후 다시 평온을 되찾았습니다. 저희는 E15로 온도센서고장이었습니다. 난방이 얼마나 중요한지 세삼 느꼈던 하루였습니다.

 

보일러의 숫자별 표시(에러코드)는 단순한 경고가 아니라 정확한 고장 부위를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브랜드별 코드만 알아두어도, “가스가 안 들어오는 건지, 배기가 막힌 건지” 빠르게 판단할 수 있죠.

특히 겨울철에는 난방수 부족(E02, 40, 05), 점화불량(11, E003), 배기불량(16, 90) 코드가 자주 발생하므로
주기적인 수압 체크와 배기관 청소를 습관화하세요. 미리 준비하여 보일러 고장 없이 따뜻한 겨울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