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제테크

개인사업자 계약전력 vs 일반가정 전기요금, 뭐가 더 유리할까?

by 민트 롤로 2025. 7. 12.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개인사업자 계약전력과 일반가전 전기요금 뭐가 더 유리할까?
개인사업자 계약전력과 일반가정 전기요금 뭐가 더 유리할까?

 

 

전기요금, 과연 누가 더 유리할까요? 개인사업자로 등록된 매장, 사무실, 학원 등에서는 계약전력 기반의 요금제를 사용하고, 일반 가정에서는 누진제 전기요금제를 적용받습니다. 두 방식은 요금 체계부터 기본요금, 단가까지 전혀 다르기에, 정확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업자 계약전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일반가정 전기요금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인 사용량별 요금 계산 예시까지 알아볼게요.

반응형

개인사업자와 일반가정 전기요금 비교
개인사업자와 일반가정 전기요금 비교

반응형

 

사업자 계약전력이란?

 

계약전력이란, 사업장이 한전과 사전에 약정한 최대 전력 사용량(kW)을 뜻합니다. 계약전력을 기준으로 기본요금이 부과되며, 실제 사용량에 따라 전력량 요금이 추가됩니다.

*  사업자 전기요금 구조

  • 기본요금: 계약전력(kW) × 9기본요금 단가 (예: 7,190원/kW)
  • 전력량요금: 사용량(kWh) × 고정 단가 (예: 약 127.3원/kWh)

⚠️ 계약전력 초과 시 벌칙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예측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요기 클릭----> 우리 집 전기요금 계산해보기 ✨

일반가정 전기요금은 누진제

전기사용 그림
전기사용(출 처 : pixabay)

 

가정에서는 누진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전기를 많이 쓰면 쓸수록 단가가 급격히 올라갑니다.

*  가정용 전력량요금 단가(2025년 기준)

구간 사용량(kWh) 단가(kWh)
1단계 0~200kWh 93.3원
2단계 201~400kWh 187.9원
3단계 401kWh 이상 280.6원
반응형

 

# 누진구간에 따라 최대 단가 차이는 3배 이상입니다.

✨요기 클릭----> 우리집 전기요금 계산해보기 ✨

실제 전기요금 비교 예시(가정용 VS 사업자)

 

전기 사용량 400kWh, 600kWh, 800kWh 기준으로 비교

항 목 사용량 일반가정(누진세) 사업자용(계약전력 3kW 기준)
기본요금 약 910원 7,190원 × 3kW = 21,570원
전력량요금 400kWh (200×93.3)+(200×187.9) = 55,970원 400×127.3 = 50,920원
총 요금 400kWh 56,880원 72,490원
전력량요금 600kWh (200×93.3)+(200×187.9)+(200×280.6) = 111,090원 600×127.3 = 76,380원
총 요금 600kWh 112,000원 97,950원
전력량요금 800kWh 168,240원 800×127.3 = 101,840원
총 요금 800kWh 169,150원 123,410원

* 요약

  • 400kWh 이하는 가정용이 저렴함
  • 600kWh 이상부터 사업자용이 유리해짐
  • 누진세 없는 사업자용은 사용량이 많을수록 비용 효율 ↑

요기 클릭----> 전기요금표 보러 가기(서식다운로드)

반응형

 

사업자 전기요금 종류

 

한전은 사업자 대상 전기요금을 다음과 같이 나눕니다.

구 분 설 명
일반용 저압 220V 이하, 소형 상점/사무실 대상, 계약전력 1kW 이상
일반용 고압 3상 220V 이상, 대형 매장/공장/병원 등에 적용
 

개인사업자라면 대부분 일반용 저압이 해당됩니다.

전기요금 절약 전략
  1. 정확한 계약전력 설정
    → 너무 낮게 잡으면 초과 요금 발생, 너무 높으면 기본요금 부담
  2. 타임요금제 활용
    → 피크시간 외 사용 유도 (전력 사용 효율화)
  3. LED 조명 및 고효율 설비 도입
    → 에너지 효율 개선으로 사용량 절감
  4. 한전의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 이용
    → 일부 사업자에 절전 인센티브 제공
반응형

 

가정용 VS 사업자용 전기요금 비교 정리

항 목 일반가정 개인사업자
요금체계 누진제 정액제
기본요금 거의 없음 계약전력에 비례
전력량 단가 최대 280.6원/kWh 약 127.3원/kWh
예측 가능성 계절별 차이 큼 예측 쉬움
고사용량 유리함
고전압 철탑
고전압 철탑(출 처 : pixabay)
자주 묻는 질문(FAQ)

1. 개인사업자도 일반가정 전기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나요?

👉 불가능합니다.
전기요금은 사용 목적에 따라 자동 분류되며, 사업자 등록이 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 무조건 사업자(일반용) 요금제가 적용됩니다. 위반 시 과징금 및 요금 추징 가능성이 있습니다.

2. 계약전력은 임의로 조절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계약 시 한전과 협의해 1kW 단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너무 낮게 설정하면 초과 사용 시 추가 요금이 발생하므로 여름철 냉방기기 등까지 고려해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사업자 전기요금에도 누진제가 있나요?

👉 없습니다.
사업자용 요금은 기본적으로 정액제 구조이며, 고정 단가로 전력량 요금이 계산됩니다. 누진세 부담 없이 많이 쓸수록 유리한 구조입니다.

4. 사용량이 적은 소형 매장도 사업자 요금이 무조건 유리한가요?

👉 그렇지 않습니다.
사용량이 400kWh 이하인 매장은 오히려 가정용보다 요금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 사용량이 적은 업종이라면 에너지 절약을 통한 계약전력 조정이 중요합니다.

5. 사업자 전기요금을 일반 가정에 적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 불법입니다.
전기사용 목적과 계약 전력이 사용 장소 및 용도에 따라 지정되며, 위반 시 소급 적용 요금 청구 및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용은 반드시 가정용 전기요금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마무리... 사용량 많은 사업장은 사업자 전기요금이 유리합니다.

 

전기요금은 단순히 kWh당 단가만 보면 안 됩니다. 누진제 구조, 기본요금, 사용 패턴, 사업 운영 시간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400kWh 이하의 소규모 사용자는 가정용이 더 유리할 수 있지만,
🔌 600kWh 이상 사용하는 카페, 음식점, 학원 등은 사업자 계약전력 요금제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