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31 [공자-논어]공자가 말한 삼락(三樂)의 유래와 교훈 – 인생의 진정한 기쁨을 말하다공자는 수천 년 전 중국 춘추시대의 위대한 사상가이며 유학(儒學)의 창시자입니다. 그의 사상은 '논어(論語)'라는 책을 통해 오늘날까지도 전해지고 있으며, 인간관계, 정치, 도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깊은 통찰을 보여줍니다. 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말이 바로 ‘삼락(三樂)’, 즉 인생에서 누릴 수 있는 세 가지 즐거움에 대한 내용입니다.✨여기터치--> 공자 명언책 구매하기 ✨ 공자의 삼락(三樂) 원문 삼락의 내용은 《논어(論語)》 중 「述而(술이)」편 제20장에 나오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합니다.* 원문 한자子曰:「知之者不如好之者,好之者不如樂之者。君子有三樂,而王天下不與存焉。父母俱存,兄弟無故,一樂也;仰不愧於天,俯不怍於人,二樂也;得天下英才而敎育之,三樂也.. 2025. 7. 7. 화양연화(花樣年華) 뜻과 유래 – 가장 아름다웠던 그 시절을 말하다 여러분은 '화양연화'라는 말을 아시나요? 4글자로 된 한자어라서 꼭 사자성어처럼 보이지만, 사자성어는 아닙니다. 불교 경전이나 고전문학에 나오는 말이지만, 정확한 고문헌상 사자성어의 기록은 없다고 하는데요, 저도 중국 영화 '화양연화'를 너무 감동적이게 보고 과연 이 뜻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어요.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시절'을 의미하는 '화양연화'에 대해서 같이 알아볼까요? ## ‘화양연화’란 어떤 뜻일까?‘화양연화(花樣年華)’는 한자어로, 각 글자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花(꽃 화)樣(모양 양)年(해 년)華(빛날 화)직역하면 ‘꽃처럼 아름다운 시절’이라는 뜻입니다. 주로 인생에서 가장 찬란하고 아름다웠던 시절, 혹은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소중한 순간을 의미할 때 사용됩니다.중국어 발음으로.. 2025. 6. 23. [맹자명언]“배움은 스스로를 돌아보는 데 있다”(학문지도무타, 구기방심이이의) – 맹자의 지혜 1 맹자의 명언은 지금 우리 삶을 돌아보게 하는 명언들이 참 많아요.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했기 때문에 공자의 영향력을 많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이 명언들은 맹자의 생각이기도 하고 공자의 생각이기도 합니다. 내 옆에 누가 있느냐, 내가 어떠한 사람과 인간관계를 유지하느냐에 따라서 영향을 받아 나의 말과 행동, 생각의 변화가 생기기도 하죠.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유가(儒家)의 대표 사상가로, 그의 말은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큰 울림을 줍니다.그중에서도 “學問之道無他,求其放心而已矣”라는 말은, 진정한 학문이란 잃어버린 마음을 찾는 데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 원문과 독음原文: 學問之道無他,求其放心而已矣독음: 학문지도무타, 구기방심이 이의현대어 해석:학문을 .. 2025. 6. 20. [광해군]조선의 비운의 군주, 광해군과 그의 아내 유씨의 이야기 2012년에 개봉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를 아시나요? 이병헌 배우님이 광해군, 하선이라는 인물이 되어 1인 2역을 하신 영화인데요. 살해 위협을 느낀 광해군이 잠시 피신해 있고 광해를 닮은 광대를 궁에 불러 왕의 대역으로 내세웠는데, 광해는 중독으로 실제로 쓰러지고 광대인 하선이 왕이 되어 정치를 하며 백성을 위해 왕노릇을 하며 벌어지는 궁궐 내의 얘기들을 개그적인 요소와 함께 진중함까지 잘 녹여낸 영화예요. 재미를 위해 여러 가지 사실이 아닌 얘기들로 구성이 되었지만, 스토리가 정말 탄탄하고, 이병헌 배우님을 다시 보게 하는 영화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광해군에 대해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조선 제15대 왕인 광해군(光海君)은 역사적으로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입니다. 한편으로는 외교와 내정 개.. 2025. 6. 15. [측천무후]중국의 유일한 여성 황제, 측천무후의 일생과 업적들 중국 오천 년 역사에서 유일하게 황제의 자리에 오른 여성, 측천무후(則天武后). 그녀는 단순한 황후나 황태후가 아니라, 직접 '성신황제(聖神皇帝)'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독자적인 왕조 ‘무주(武周)’를 창건한 인물이죠. 그래서 무측천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하지만 그녀는 역사적으로 ‘악녀’로도 자주 언급이 되는데요, 능력 있고, 업적에 비해 왜 이렇게 큰 오명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닐까요? 그래서 오늘은 측천무후의 일생, 정치적 업적, 그리고 왜 그녀가 악녀로 평가받았는지 알아볼게요. @ 측천무후의 출생과 초기 생애 이름: 무조(武曌)출생연도: 624년출신: 당나라 무원 외교관 집안의 딸14세에 당 태종 이세민의 후궁으로 입궁했지만 주목받지 못했고, 그 당시 사회의 풍습에 따라 태종 사후 출가해 비구니가 되었어.. 2025. 6. 13. 측천무후의 남성 편력 – 여인천하의 비밀스러운 권력관계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성 황제, 측천무후를 아시나요?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정치적인 수완과 개혁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하지만 그녀를 둘러싼 가장 큰 논란 중 하나는 바로 남성 편력(男性遍歷)이죠. 유교적 가치관이 강했던 당시 시대에, 여성의 성(性)과 권력은 철저히 억제되었기에 측천무후의 행보는 더욱 파격적으로 비춰졌습니다. 오늘은 그녀의 남성 관계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평가를 통해, 왜 그녀가 ‘악녀’로 불리게 되었는지 알아볼게요. @ 젊은 시절 – 황제의 후궁에서 황후로 측천무후는 원래 당 태종 이세민의 후궁이었어요. 이때는 총애를 받지 못하고 조용히 지내야 했지만, 태종 사후 비구니로 출가했다가 그의 아들인 당 고종(이치)의 총애를 받아 재입궁하게 됩니다. 역시 '될 놈은 된다.'는 말이 떠오.. 2025. 6. 13.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