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 인물 이야기/위인 명언, 성어9 부처님 말씀, 삶을 비추는 지혜의 등불(무상,자비,연기,열반) 여러분은 어떤 분의 명언을 마음속에 새기면서 살아가고 계신가요? 저는 종교생활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분은 부처님이라서 오늘은 부처님의 말씀을 간단하게 포스팅하려고 해요. 종교적인 것을 떠나서 제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는 구절들이 있어서 몇 글자 적어봅니다. @ 목 차1. 부처님 말씀의 의미2. 부처님의 가르침 네 가지3. 부처님 말씀의 현대적 적용4. 삶을 비추는 부처님의 지혜5. 자주 묻는 질문(FAQ)6. 마무리하며... 1. 부처님 말씀의 의미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전 가끔 이 말을 되뇌곤 합니다. 불교의 경전 속에서 전해지는 부처님의 말씀(佛語)은 종교적인 의미를 떠나서 살아가는데 너무 힘이 들고 괴로울 때 한 번씩 떠올리면, 어.. 2025. 8. 22. 화양연화(花樣年華) 뜻과 유래 – 가장 아름다웠던 그 시절을 말하다 여러분은 '화양연화'라는 말을 아시나요? 4글자로 된 한자어라서 꼭 사자성어처럼 보이지만, 사자성어는 아닙니다. 불교 경전이나 고전문학에 나오는 말이지만, 정확한 고문헌상 사자성어의 기록은 없다고 하는데요, 저도 중국 영화 '화양연화'를 너무 감동적이게 보고 과연 이 뜻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어요.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시절'을 의미하는 '화양연화'에 대해서 같이 알아볼까요? ## ‘화양연화’란 어떤 뜻일까?‘화양연화(花樣年華)’는 한자어로, 각 글자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花(꽃 화)樣(모양 양)年(해 년)華(빛날 화)직역하면 ‘꽃처럼 아름다운 시절’이라는 뜻입니다. 주로 인생에서 가장 찬란하고 아름다웠던 시절, 혹은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소중한 순간을 의미할 때 사용됩니다.중국어 발음으로.. 2025. 6. 23. [맹자명언]“배움은 스스로를 돌아보는 데 있다”(학문지도무타, 구기방심이이의) – 맹자의 지혜 1 맹자의 명언은 지금 우리 삶을 돌아보게 하는 명언들이 참 많아요.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했기 때문에 공자의 영향력을 많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이 명언들은 맹자의 생각이기도 하고 공자의 생각이기도 합니다. 내 옆에 누가 있느냐, 내가 어떠한 사람과 인간관계를 유지하느냐에 따라서 영향을 받아 나의 말과 행동, 생각의 변화가 생기기도 하죠.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유가(儒家)의 대표 사상가로, 그의 말은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큰 울림을 줍니다.그중에서도 “學問之道無他,求其放心而已矣”라는 말은, 진정한 학문이란 잃어버린 마음을 찾는 데 있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 원문과 독음原文: 學問之道無他,求其放心而已矣독음: 학문지도무타, 구기방심이 이의현대어 해석:학문을 .. 2025. 6. 20. [공자명언] '학이편'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不患人之不己知,患不知人也)"남이 나를 몰라주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내가 남을 모르는 것을 걱정하라" 공자의 명언 중에는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것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 정말 많아요. 특히 바쁘게 살아가는 우리들은 앞으로 나아가려고 열심히 살아가지만, 뒤를 돌아보며 잠시 쉬기는 어려운 사회구조 안에서 살아가고 있어요. 이럴 때, 평소 자신만의 루틴으로 명언 한 구절, 나의 다짐 등을 정해 놓고 힘들거나 지칠 때 한 번씩 되뇌어보며, 잠시라도 쉬어가는 시간을 가지셨으면 좋겠어요. 오늘은 인간관계의 통찰과 자기 성찰의 철학을 담은 공자의 명언을 소개해 드릴게요. 이 명언도 깊이 새겨 보시면 좋겠습니다. 목 차공자 명언의 원문과 해석명언의 배경 : 논어 '학이편' 에서 나온 문장공자의 의도 : 자기중심적 생각에서 벗어나라우리 사회에 적용하기이 명언이 주는 교훈진짜 리더십은 공감.. 2025. 6. 4. [공자 명언]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 지식보다 즐김이 우선이다 공자 명언 해석: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 지식보다 즐김이 우선이다 @ 명언의 원문과 독음한자 원문: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독음: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직역: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해석: 단순히 지식을 아는 것에 그치지 말고, 그 대상을 좋아하고, 더 나아가 즐길 수 있어야 진정한 성취와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이 말은 인간의 지적 태도와 학습의 깊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한 명언으로, 공자의 교육 철학이 집약된 대표적인 문장입니다.@ 유래와 배경 – 『논어(論語)』 옹야편에 등장한 명언이 명언은 공자의 제자들의 언행과 공자의 가르침을 엮은 책인 『논어(論語)』 중, 「옹야(雍也)」편에 수록.. 2025. 5. 20.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과 삶을 관통하는 명언들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과 삶을 관통하는 명언들한글 창제의 아버지이자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끈 세종대왕을 깊이 있게 조명하다 세종대왕은 누구인가?세종대왕(1397~1450)은 조선의 제4대 왕으로, 태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재위 기간은 1418년부터 1450년까지로, 약 32년간 조선을 통치했습니다. 그의 시대는 과학, 문화, 군사, 농업, 법제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혁신이 이루어진 시기였습니다. 특히 백성을 위한 통치를 실천한 왕으로 평가받으며, 현대 한국에서도 가장 존경받는 역사 인물 중 한 명입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바로가기 ⭐ 세종대왕의 대표 업적 7가지1. 한글 창제 – 『훈민정음』세종대왕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바로 1443년에 착수하여 1446년에 반포된 ‘훈민정음’, 즉 한.. 2025. 5. 1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