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IT,경제,역사

낙이불류 애이불비(중용정신을 강조한 공자의 명언)

by 민트 롤로 2025. 5. 13.
반응형

 

공자 : 낙이불류 애이불비

 

 

우리 사회는 좋은 일들도 많지만, 안 좋은 일들이 더  많이 생겨난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부분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는 것이 서투른 것에서 발단됩니다.

유튜브, 각종 SNS를 통해 자기 PR을 열심히 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선플보다는 더 큰 감정의 소모가 되는 악플에 상처를 받고는 합니다.

 

'모두 내 마음만 같으면 좋겠다.'는 말이 있지만 예전과 다르게 마음을 주고받을 수도 없고, 내 마음과 같을 수 없는 현실이에요.

마음의 중심이 서지 않고 많이 흔들릴 때, 꼭 되새겨 마음을 다스리시길 바랍니다.

 

공자(가상 AI)

 

 

낙이불류 애이불비(而不而不悲)공자(孔子)가르침 하나로, 기쁘다고 도리에 어긋나지 않고, 슬프다고 자신을 잃지 않는 태도를 뜻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흔들리지 않는 감정 조절력과 중심 감각은 매우 중요한 덕목이며, 고사성어는 핵심을 설명해 줍니다.

  • 낙이불류(而不流): 즐거워하되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다.
  • 애이불비(而不悲): 슬퍼하되 절망에 빠지지 않는다.

말은 감정의 과잉이나 결핍 모두 경계하고, 중용(中庸)자세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은 어디에서 유래했을까?

낙이불류 애이불비는 『예기(禮記) 중용편(中庸篇)』나오는 문장으로, 공자의 손자인 **자사(思)**정리한 유교 경전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君子之道,隱。夫婦愚,可以焉。而不流,而不悲。
(군자의 도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내면은 충실하다. 부부의 소박함 속에서도 도를 있으며, 기쁘되 도를 잃지 않고, 슬프되 절망하지 않는다.)

구절은 군자(君子), 이상적인 인간이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특히 유교의 핵심 가치인 '예(禮)'와 '도(道)'실천하는 있어 감정의 절제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우리가 말을 통해 얻을 있는 삶의 교훈

1. 감정 조절이 인격이다

기쁘다고 방종하면 자만을 부르고, 슬프다고 주저앉으면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처럼 감정에 휘둘리는 사람보다 감정을 조율할 아는 사람이 더욱 성숙한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 SNS 상에서 과한 자랑이나 부정적 표현들이 관계를 망치듯,
  • 절제된 감정 표현은 오히려 신뢰품격만들어냅니다.

 

2. 중용의 미덕을 일상에 적용하자

공자가 강조한 ‘중용(中庸)’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적절한 상태를 뜻합니다.
낙이불류 애이불비는 바로 중용의 실천적 지침이라고 있습니다.

  • 즐거운 일이 생겼을 주변 사람과 나누되, 자만하지 않기
  • 슬픈 일이 생겼을 감정을 인정하되, 스스로를 깎아내리지 않기

이런 태도는 직장, 인간관계, 가정생활 어디서든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3. 인생의 파도 속에서도 중심을 잃지 않는 태도

삶은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연속입니다. 그러나 모든 상황에서 우리가 있는 건, 자기 자신을 지키는 입니다.

  • 합격의 기쁨, 승진의 성취자만하지 않고 감사함으로
  • 실패, 이별, 좌절의 순간자기 비난보다 배움의 자세로

낙이불류 애이불비는 감정이라는 파도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되어줍니다.

 

실생활 적용 예시


상황 감정 적용방식
취업 성공 기쁨 자기 성찰, 겸손한 자세 유지
이별 경험 슬픔 감정 인정 + 자아 회복 노력
SNS 댓글 논란 분노 감정적 대응 대신 사실 확인, 침착한 대응
가족의 병환 고통 감정 공유 + 이성적 판단 병행
 

 

/span>

 

감정에 휘둘리는 대신 중심을 세우자

낙이불류 애이불비’단순히 감정을 억제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감정을 인정하되, 그것에 잠식되지 말라깊은 지혜입니다.

오늘날처럼 자극적인 콘텐츠가 넘쳐나는 시대일수록, 감정의 중심을 지키는 자세는 자기 관리의됩니다.
그리고 그것은 인간관계뿐 아니라 내면의 평안,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토대가 되어줍니다.

특히, 우울한 감정을 지속적으로 느끼더라도 거기에 잠식되어 자신을 자꾸 어둠 속으로 내몰지 말고, 감정 컨트롤을 잘해서 나를 다시 밖으로 나올 수 있게끔 회복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