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 [건강] - 심장 스텐트 시술 전후 주의사항: 혈전 예방과 식단 관리법
심장 스텐트 시술 전후 주의사항: 혈전 예방과 식단 관리법
심장 스텐트 시술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같은 관상동맥 질환 치료에 매우 중요한 시술입니다. 하지만 스텐트를 삽입했다고 끝이 아닙니다. 시술 전후 주의사항과 혈전 예방, 식단 관리가 제대
sommer7979.com
여러분은 '보체계'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보체계(Complement system)는 우리 몸의 선천 면역체계의 핵심 방어라인인데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하는 병원체를 빠르게 감지하여 제거하고, 염증 반응과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보체계가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작동을 하게 되면, 우리 몸의 세포를 공격해서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같은 희귀 질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2025.07.02 - [건강] - 비문증(눈의 노화),비문증의 증상, 원인,치료법 총정리(눈앞에 떠다니는 그림자의 정체)
비문증(눈의 노화),비문증의 증상, 원인,치료법 총정리(눈앞에 떠다니는 그림자의 정체)
여러분은 눈앞에 검은 점이나 실 같은 그림자가 떠다닌다고 느낀 적이 있으신가요? 이 현상은 비문증(飛蚊症, Floaters)이라고 하며, 말 그대로 ‘날아다니는 모기’처럼 눈앞을 맴도는 부유물이
sommer7979.com
보체계의 정의
‘보체(補體)’라는 말은 ‘보조하는 체계’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요, 보체계는 혈액 속에 존재하고 있는 30여가지 단백질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면역반응이 일어날 때, 연쇄적으로 활성화가 이루어져 병원체를 파괴시키고 면역세포의 활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즉,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흔들리면 가장 먼저 반응하는 방어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5.07.08 - [건강] - 심장마비 초기증상, 이게 신호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자가진단법
심장마비 초기증상, 이게 신호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자가진단법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 어깨나 팔의 저림, 호흡곤란이 있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닌 심장마비 초기증상일 수 있습니다. 특히 중장년층에게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 중 하나인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
sommer7979.com
보체계의 작용 경로-- 세 가지 활성화 경로
보체계는 세 가지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고 있는데요, 경로는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활성화 경로 | 설명 | 특징 |
고전 경로(Classical Pathway) | 항체-항원 복합체가 보체를 활성화 | 적응면역과 연관 |
대체 경로(Alternative Pathway) | 병원체의 표면이 직접 보체를 활성화 | 선천면역에 중요 |
렉틴 경로(Lectin Pathway) | 렉틴 단백질이 당 구조 인식 후 활성화 | 병원체 특이적 인식 |
이 세 경로는 결국 C3 단백질을 중심으로 통합되어 공통 경로(Common Pathway)로 이어지며, 병원체 파괴, 염증 유도, 식세포 유도 등의 반응을 이끌어냅니다.
보체계의 주요 기능
- 세균과 바이러스 파괴 (세포용해)
- MAC(Membrane Attack Complex) 형성으로 병원체 세포막을 구멍 내어 파괴
- 식세포 작용 촉진 (옵소닌화)
- C3b 단백질이 병원체를 코팅하여 백혈구가 쉽게 식균할 수 있도록 도움
- 염증 반응 유도
- C3a, C5a 등은 염증 유도물질로 작용, 백혈구를 감염 부위로 유도
- 면역 복합체 제거
- 항체-항원 복합체를 신속히 제거하여 조직 손상 방지
보체계 이상이 일으키는 질병
보체계는 ‘과소 활성화’되거나 ‘과도하게 활성화’될 때 모두 문제가 됩니다.
1. 보체 결핍
- 감염에 취약해지고, 반복적인 세균성 폐렴, 수막염 발생 위험 증가
- 자가면역질환, 예: 루푸스(lupus), 류마티스관절염
2. 보체 과활성화
-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 비정상적인 보체 활성으로 혈관 손상 및 신장기능 저하 - C3 사구체신염(C3 glomerulopathy)
→ 신장 사구체에 C3 침착 → 만성 신장염 - 망막 병변(AMD 등)
→ 안과적 질환과도 관련 있음
보체계 조절 치료제
보체계가 질병을 유발할 경우, 이를 억제하는 치료제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Eculizumab (이쿨리주맙)
- C5 단백질을 억제하여 보체계의 마지막 공격 단계를 차단
- aHUS,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중증 근무력증(MG) 등에 사용됨
@ Ravulizumab (라불리주맙)
- Eculizumab의 장기 지속형
- 투약 횟수가 적어 환자 편의성이 높음
보체억제제는 치료 효과가 뛰어나지만, 수막구균 감염 위험이 증가하므로 예방접종이 필수입니다.
보체 유전자와 유전 질환
aHUS 환자의 상당수는 보체계 유전자(CFH, CFI, MCP, C3 등)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유전성 aHUS는 가족력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전자 검사는 질병 진단과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합니다.
보체계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FAQ)
Q1. 보체계는 면역세포와 다른가요?
A. 네, 다릅니다.
보체계는 면역세포가 아닌 혈액 속에 떠다니는 단백질 시스템입니다. 백혈구(면역세포)는 병원체를 직접 공격하거나 탐식하지만, 보체는 이러한 면역세포를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을 합니다. 병원체를 표시하거나 터뜨리는 등의 기능을 하며, 면역반응을 증폭시키는 핵심 요소입니다.
Q2. 보체계가 이상이 생기면 어떤 질병이 생기나요?
A. 보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과활성화될 경우:
-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 C3 사구체신염
- 노인성 황반변성(AMD)
- 결핍될 경우:
- 수막염, 패혈증 같은 반복 감염
- 전신홍반루푸스(SLE) 등의 자가면역질환
즉, 보체계의 균형이 무너지면 감염에 취약해지거나 자신의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3. 보체 관련 질환은 유전되나요?
A. 네, 일부는 유전됩니다.
특히 aHUS(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는 CFH, CFI, MCP, C3 등의 보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유전자는 부모에게서 물려받을 수 있으며, 가족 중에 같은 질병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유전자 검사를 권장합니다.
Q4. 보체 억제제 치료는 어떤 사람에게 필요한가요?
A. 보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된 질병 환자에게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다음 질환이 해당됩니다:
-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aHUS)
-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
- 중증 근무력증(MG)
이런 환자들에게는 이쿨리주맙(Eculizumab), 라불리주맙(Ravulizumab) 같은 C5 억제제가 투여되며, 면역 반응을 억제해 장기 손상을 막아줍니다.
Q5. 보체계가 좋지 않다면 예방접종을 꼭 해야 하나요?
A. 네, 매우 중요합니다.
보체 억제제 치료를 받는 환자는 감염에 특히 취약해지므로 수막구균 예방접종(Meningococcal vaccine)을 필수로 맞아야 합니다. 또한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백신도 권장됩니다.
보체계가 약하면 작은 감염도 전신감염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은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 건강, 내 몸을 살리는 장 건강 관리법(한의사, 의사 공통소견) (12) | 2025.07.28 |
---|---|
파인애플의 효능, 손질법, 먹는 방법 총정리! (3) | 2025.07.21 |
마비성 장폐색, 원인부터 증상·치료까지 총정리(예방법, 치료법) (3) | 2025.07.19 |
왜 커피를 마시면 이(치아)가 누렇게 될까? 하얀 치아 만드는 방법 총정리! (4) | 2025.07.17 |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 부족 자가진단 체크리스트|중년 여성 갱년기 증상 바로 알기(에스트로겐 보충 음식 알기) (6)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