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질병 예방법, 건강관리 정보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원인과 증상, 개선방법|숙면을 방해하는 조용한 위험 신호

by 민트 롤로 2025. 10. 21.
반응형

여러분은 수면 시 코골이가 있으신가요? 전 평상시에는 코를 골지 않는데, 피곤하다고 느낀 날은 코를 골더라구요. 어떻게 아냐구요? 제가 제 코 고는 소리에 깜짝 놀라서 깨거든요. 평상시 코골이가 심하신 분들은 잘 주무시다가도 갑자기 코 고는 소리가 멈추기도 하는데요, 그럴 때면 잘못된 줄 알고 긴장을 하게 됩니다. 저랑 같이 사시는 분이 가끔 그러시거든요. 오늘은 수면 시 코를 골다가 무호흡증이 생기는 원인과 증상, 수면무호흡증 개선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목차

  1. 수면무호흡증이란?
  2. 주요 원인
  3. 대표적인 증상
  4. 수면무호흡증의 개선 방법
  5. 예방과 관리 팁
  6. 마무리 및 요약

 

 1. 수면무호흡증이란?

반응형

 
수면무호흡증(Sleep Apnea)수면 중 호흡이 일정 시간 이상 멈추거나 약해지는 질환으로, 잠을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고 낮 동안 졸음이 몰려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으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 이 가장 흔하며,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부족해집니다. 이는 단순한 ‘코골이’가 아니라,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의 위험을 높이는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주요 원인

반응형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은 다양한데요. 아래의 원인들이 대표적입니다.

① 비만

비만으로 인해 목 주변 지방이 기도를 압박해 호흡이 원활하지 않고, 특히 복부 비만과 목둘레 증가는 수면무호흡의 대표적인 위험요인입니다. 체중이 10%만 증가해도 위험도가 약 6배 높아질 수 있습니다. 비만이신 분들은 체중관리가 시급합니다.

② 상기도 폐쇄

상기도 위치
상기도 위치와 기관들

 
 
 
혀와 입천장(연구개), 편도가 이완되어 기도를 일시적으로 막는 경우입니다.
턱이 작거나 기도가 좁은 체형일수록 더 잘 발생합니다.

③ 음주 및 흡연

잠들기 전 술을 마시면 근육이 이완되어 기도가 쉽게 닫히며, 흡연은 기도 점막을 붓게 만들어 공기 흐름을 방해합니다.

④ 코 질환 및 구조적 문제

비염, 축농증, 비중격만곡증 등은 코로 숨쉬기 어렵게 만들어 입호흡을 유도하고 무호흡을 악화시킵니다.

 

3. 대표적인 증상

반응형
코골이와 증상



증상 설 명
큰 코골이 가족이 깨는 수준의 심한 코골이는 대표적 경고 신호
호흡 중단 수면 중 숨이 멈췄다가 다시 쉬는 패턴이 반복됨
아침 두통 산소 부족으로 뇌혈류가 불안정해 발생
낮 졸림 숙면을 취하지 못해 낮 동안 피로와 졸음이 지속됨
집중력 저하 뇌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한 인지 기능 저하
고혈압, 부정맥 산소 부족으로 심혈관계 부담 증가

 

4. 수면무호흡증의 개선 방법

 (1) 생활습관 교정

  • 체중 감량: 5~10%만 줄여도 증상 개선 효과가 큽니다.
  • 금주·금연: 수면 전 4시간 이내 음주는 피하고, 흡연은 반드시 중단합니다.
  • 옆으로 눕기: 바로 누우면 혀가 뒤로 떨어져 기도를 막을 수 있으므로 옆으로 자는 습관을 들이세요.

 (2) 수면환경 개선

  • 베개 높이 조절: 머리와 목의 각도를 유지해 기도 확보를 돕습니다.
  • 실내 온도·습도 관리: 온도는 18~20도, 습도는 40~60%가 적절합니다.
  •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하악을 살짝 내밀어 기도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의료적 치료

  • CPAP(지속적 양압기): 수면 중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기도로 불어넣어 호흡을 유지합니다.
  • 수술 요법: 편도 제거, 비중격 교정 등 구조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 구강 장치: 하악을 앞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넓히는 치과용 장치로 경증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5. 예방과 관리 팁

  •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지키고, 늦은 밤 과식·카페인을 피하세요.
  • 식염수 세척으로 코 점막을 깨끗이 유지하면 호흡이 한결 편해집니다.
  • 만성 피로·두통이 지속되면 수면다원검사(PSG)를 통해 정확히 진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6. 마무리 및 요약

수면무호흡증은 코골이가 심한 분들이 자주 겪는 것으로 전신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입니다.
잠깐의 무호흡이지만, 이 증상이 빈발할 경우 방치하시면 안됩니다. 방치할 경우 심근경색, 고혈압, 당뇨, 뇌졸중 등 치명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하실 때, 생활습관 개선과 조기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될 수 있으니, 일단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체중관리도 하시고 식습관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음주와 카페인, 흡연은 되도록이면 피하거나 줄이시는 것이 좋고, 일단 증상이 잦아지면 검사를 꼭 받아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