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분들이 유튜브를 켜서 여러 가지 영상들을 보고 즐기면서 “어, 이 영상 내가 좋아하는 건데, 좋아요 눌러야지." 하고 누르며 계속 시청을 하게 되면, 내가 관심 있어하는 영상들이 자꾸 추천되어 올라오는 것을 느끼셨나요? 마치 유튜브가 내 머릿속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정확히 취향에 맞는 영상을 추천하죠. 그 비밀은 바로 ‘유튜브 알고리즘(YouTube Algorithm)’에 있습니다.
오늘은 유튜브 알고리즘이 어떻게 내 취향을 파악하고, 어떤 원리로 영상이 추천되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 유튜브 알고리즘이란?
유튜브 알고리즘은 사용자가 어떤 영상을 보고,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어떤 콘텐츠를 좋아했는지를 분석해
‘이 사람은 이런 주제를 좋아하겠구나’ 하고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즉, 단순히 구독자 수나 조회수만으로 추천되는 게 아니라,“사용자 개개인의 행동 데이터”가 추천 기준이 되는 것이죠.
유튜브는 수백억 건의 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내가 다음에 클릭할 영상’을 예측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 내 취향을 파악하는 핵심 데이터 3가지
유튜브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취향’을 학습합니다.
| 분석항목 | 설 명 |
| 시청 이력(Watch History) | 사용자가 어떤 주제나 채널의 영상을 자주 보는지 분석 |
| 체류 시간(Watch Time) | 영상을 얼마나 끝까지 시청했는지로 ‘흥미도’를 판단 |
| 상호작용(Engagement) | 좋아요, 댓글, 구독, 공유 등 참여 활동을 통해 관심도 측정 |
------> 예를 들어, “스포츠 영상”을 자주 보고 “10분 이상 시청”했다면, 유튜브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비슷한 스포츠나 특정선수, 관련 스포츠 영상을 추천합니다. 이런 식으로 알고리즘은 점점 ‘나만을 위한 홈 화면’을 완성해 나갑니다.
@ 유튜브 추천 영상이 결정되는 과정

유튜브는 크게 두 가지 알고리즘으로 영상 노출을 결정합니다.
- 홈(Home) 알고리즘
- 사용자가 유튜브 앱을 열 때, 홈 화면에 어떤 영상을 보여줄지 판단
- 최근 시청한 주제, 구독 채널, 지역, 시간대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됨
- 추천(Next Up) 알고리즘
- 한 영상을 보고 있을 때, 이어서 볼 ‘다음 영상’을 자동으로 추천
- 영상의 주제, 다른 시청자들의 선택 패턴, 제목·태그의 유사도 등을 고려
이처럼 유튜브는 단순히 ‘인기 영상’을 띄우는 게 아니라,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예측해 제공하는 개인화 시스템이에요.
@ 알고리즘의 학습 원리: AI와 머신러닝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로 작동합니다. 즉, 사용자의 행동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개선하는 구조죠.
- 내가 클릭하지 않은 영상 → 관심 없는 주제로 판단
- 내가 반복해서 본 영상 → 선호도가 높다고 판단
- 시청을 끝까지 한 영상 → 만족도 높은 콘텐츠로 분류
이런 반복 학습을 통해 유튜브는 “사용자 맞춤형 피드”를 꾸준히 정교화합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날수록 내 취향을 더 정확히 반영하는 홈 화면이 만들어지는 거죠.
@ 알고리즘을 이해하면 콘텐츠 전략이 달라진다
유튜버나 마케터 입장에서는 이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시청자 만족도가 곧 조회수와 수익으로 이어지기 때문이에요.
- 시청 유지율(Watch Retention) 높이기 → 영상의 초반 흡입력이 중요
- 참여도(Engagement) 높이기 → 좋아요, 댓글, 구독 유도 문구 활용
- 키워드 최적화(SEO) → 제목·태그·설명란에 핵심 키워드 삽입
---> 이 세 가지만 잘 지켜도 유튜브 알고리즘이 ‘이 영상은 사람들에게 인기 있겠네!’라고 판단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시켜 줍니다. 저도 쇼츠를 만들어서 영상을 올려 본 적이 있는데, 시청자들이 선호하는 콘텐츠가 아니였는지 조회수가 많이 없어서 중도하차 했습니다. 그만큼 알고리즘을 이해하기도 어렵고 알고리즘이 바뀌면 또 다른 대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꾸준히 하신 분들만이 수익으로 이어지는 쾌거를 맛보실 수 있죠.
@ 유튜브 알고리즘, 결국 나를 통해서 학습한다
하지만 유튜브 알고리즘이 완벽한 건 아닙니다. 때때로 비슷한 영상만 반복 추천하거나, ‘자극적인 콘텐츠’를 상위 노출시키는 경우도 있죠. 지금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면 자극적인 콘텐츠들이 많이 노출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 때문에 유튜브는 ‘시청자 만족도 설문’, ‘영상 숨기기 기능’ 등을 통해 알고리즘이 편향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유튜브 플랫폼이 “사용자가 더 오래, 즐겁게 머무는 플랫폼”이 되길 바랍니다.
@ 마무리하며
유튜브 알고리즘은 결국 우리가 클릭한 작은 선택 하나하나로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 즉, 내가 어떤 영상을 보느냐에 따라 유튜브는 ‘나를 학습’하고, 그에 맞는 세상을 보여줍니다. 좋은 콘텐츠를 꾸준히 소비할수록 유튜브도 더 건강하고 유익한 추천을 해준답니다.
'생활꿀팁 > 생활정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종이컵에 뜨거운 물, 정말 괜찮을까? 미세플라스틱·환경호르몬 위험성 총정리(종이컵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5가지) (4) | 2025.11.03 |
|---|---|
| 엔비디아가 한국에 26만 장 공급하는 GPU는 무엇인가? GPU 뜻과 활용분야 총정리 (1) | 2025.11.02 |
| 알고리즘이란? 보이지 않는 두뇌, 알고리즘이 중요한 이유(알고리즘 작동원리, 알고리즘 종류) (7) | 2025.11.01 |
| 카카오와 코코아의 차이점, 무엇이 다른가?(알아두면 효자상식) (2) | 2025.10.30 |
| 사향고양이 배설물로 만든 루왁커피, 루왁커피 풍미의 비밀은 무엇일까?(세계에서 가장 비싼 커피의 비밀) (1) | 2025.10.29 |